도시재생 7

쪽길개선작업-작은실험의 기록14 "함께 참여하여 웃을 수 있었다."

자발적인 참여로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공간으로 새롭게 변화 되었고, 낡고 어두운 쪽길은 환한 포토존으로 2023년 광명시 주민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총500만원의 예산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사업 대상은 광명시장 좁고 어두운 쪽길 구간입니다. 사업은 크게 3가지 분야로 나누어 진행되었습니다. 첫째, 쪽길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셔터 3군데 페인트 작업을 하였고 기존 깨진 아스팔트를 석재타일로 바꾸는 바닥시공공사를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쓰레기로만 가득 찼던 기존 화단 조성 친환경 녹지 공간을 조성하였습니다. 사업 결과, 쪽길은 깨끗하고 밝은 분위기로 변모했습니다. 특히, 벽화 그리기와 화단 조성으로 쪽길의 미관이 크게 개선되었고, 밝은 공간으로 인해 범죄 예방 효과가 높아졌습니다. 직접 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하면서..

쪽길개선작업-작은실험의 기록6 "기획회의를 시작으로 세부계획"

◇ 사업의 목적 광명전통시장은 생활의 모든 것을 해결하는 만능의 공간으로 광명사거리역・대중교통과 함께 앵커포인트로 자리잡고 있어 유동인구가 많은 상업지역 이러한 광명전통시장을 지역민과 상인들이 함께 이용하고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고자 함.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 ① 광명 시장 길목을 활용한 지역민 쾌적한 거리 공간 조성, 걷고 싶은 보행환경과 안전하고 깨끗하게 관리되는 골목 만들기 ② 전통시장의 역사성과 특수성 기반으로 홍보효과 이끌 수 있는 작은 공간으로 구성 ③ 지역의제 및 사회적인 실천과제를 바탕으로 경험으로 해결해 가는 지역사회 만들기 실현 ◇ 주민공모사업을 추진위한 고려사항 ① 사업 추진 과정에서는 예상치 못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연하게 일정..

쪽길개선작업-작은실험의 기록4"예산은 오백만원이라고?"

장소는 잡았는데 일단 중요한 건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시작하는 거였다. 장소를 확보했으니 이제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사업계획서에는 사업의 목적, 목표, 계획, 예산 등이 포함된다. 주민공모사업의 목적은 무엇이고, 목적에 따른 필요성이 무엇이고,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업을 시작하는 것인지 명확히 해야 한다. 또한, 사업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업에 필요한 예산을 산정해야 한다. 처음 목적과 다르게 진행하게 되었다. 우리에게 주어진 총 예산은 500만원 이었다 처음에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공모사업을 시작했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목적을 수정해야 했다. 고보조명과 벽화작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

쪽길개선작업-작은실험의 기록3 "광명해요 실험실 쪽길사업"

확실히 장소 선정은 "쪽길"로 잡았다. 우범지역공간은 주로 도시의 뒷골목이나 외진 곳에 위치한 공간이지만 이번 쪽길의 경우 광명시장으로 가는 가장 가까운 공간이기에 사람들의 유동인구가 많았다. 대다수가 시장에서 물건을 사는 어르신분들이기에 더욱이 빨리 변화가 필요한 공간이었다. 나는 공간을 관찰하기 위해 시간단위, 계절단위, 요일단위 별로 나눠서 관찰하였다. 시간 단위 관찰 오전 시간대의 쪽길은 시장을 찾는 사람들로 북적북적 시장 상인들과 주민들, 그리고 시장을 찾는 손님들로 인해 쪽길은 낮시간도 어두운 공간이지만 이동하는 사람들로 가득 차 있었다. 나름 좁은 쪽길이지만 면적대비 인구밀도는 높았다. 밤 시간대의 쪽길은 한산했다. 시장이 문을 닫은 후에는 사람들이 거의 지나다니지 않았다.. 하지만 깡소주를..

쪽길개선작업-작은실험의 기록2 "은근많은 유동인구 광명시장"

광명시장으로 가는 작은 쪽길은 이미 광명시장상인분들과 인근 살고 계시는 주민분들 몇십년 동안 꾸준한 민원으로 골치아픈 장소이다. 광명시장으로 가는 작은 쪽길은 쓰레기와 오물이 많이 버려져 있어 환경 문제가 심각하고 특히, 시장을 찾는 사람들이 버린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발생하여, 악취와 미관을 해치고 있었다. 광명시장 쪽길을 꽃길 바꾸는 변화 필요성 광명 시장으로 유입되는 길목 중 대중교통과 광명사거리역 9번 출구는 사람들 유입이 시장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단거리 쪽길이다. 광명 시장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며 건물 사이의 사유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이용을 많이 하고 있다. 하지만 좁은 골목은 흡연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장소로 전락되어 쓰레기, 침과 악취가 섞인 좁고 어두운 우범지역 분위기로..

쪽길개선작업-작은실험의 기록1 "광명시 문제공간을 찾기"

광명시는 197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많은 오래된 공간도 많고 변화가 많이 없는 공간이기도 하다. 지리적 위치와 교토 접근성으로 광명시는 수도권 삼각중심인 인천 서울 경기 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이런 도시권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지리적인 근접성이 너무 좋기도 하다. 하지만 광명은 오묘하게 다양한 신상품들이 즐비하지만 옛날 90년대 감성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도시이기도 하다. 요즘 광명시는 구시가지 정비의 필요성을 느끼고 조금씩 개발하고 있다. 1960년대 이후부터 시작한 주택지 조성사업으로 도시가 형성되었고 건축물 노후와 불량연한이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이로 인해 광명시 주민들도 정치인들보다도 너무나 많은 장소들의 문제점을 알고 있다. 또한 광명시는 원주민 즉 오랫동안 광명시에 머무르고..

쪽길개선작업-작은실험의 기록0 "관찰하고 장소찾기가 일상"

나름 장기 프로젝트 주민공모사업 기록 사람, 문화 이야기로 지역문제를 풀고자 했던 기억들이 2022년부터 "장소에 따른 관찰로" 하나씩 시작되었다. 의미 있는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었고 학교에서 배웠던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문제점을 이해하기 위해 시작한 나만의 실험이었다. 그리하여 의미있는 작은 시도를 해보기로 했다. 우선 거버넌스라는 의미부터 알아본다면 한 국가의 여러 업무를 관리하기 위하여 정치, 경제 및 행정적 권한을 행사하는 것을 뜻한다. 지금 의미 있는 작은 시도에서의 거버넌스 개념은 시민들과 여러 집단이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밝히고 그들의 권리를 행사하며, 자신들의 의무를 다하고, 그들 간의 견해 차이를 조정할 수 있는 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단어이다. 2023년 광명시에서 하는 주민이 주도하..